폴라리스에이아이

NEWS

컴텍코리아, 디지털 방송 활성화 추진에 따라 기대감 높아

21일 정보통신부는 디지털 방송 전환이 지지부진 하자 디지털 방송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를 확정 발표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DTV 보급확산, 디지털 방송 추진의 불확실성 제거를 위해 아날로그 방송 증단 일정 법제화, 디지털방송망 구축을 위한 연내 모든 시군지역 디지털 방송 실시, 이러한 과제를 추진하기 위한 [디지털방송산업 활성화 위원회]를 구성하며 [디지털방송 활성화를 위한 특별법]제정 추진 등 이다.

디지털 방송은 현재보다 3~4배의 선명한 고화질, 고음질 실감방송, 데이터방송,T-government, VOD 등 양방향 서비스, 다채널을 통한 시청자의 다양한 기호에 맞는 맞춤형 방송 등의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디지털 방송을 위해서는 방송사업자의 디지털 전환 구축과 사용자의 DTV보급 인프라 구축이 우선이다.

디지털 방송 솔루션 전문기업인 컴텍코리아는 디지털 전환을 위한 방송사업자의 H/E 구축 및 SI 사업자로서 지방 단일 SO의 디지털 전환 구축 프로젝트 가속 및 현재 구축중인 국내 대형 MSO인 CMB 디지털 멀티미디어 센터(DMC)의 디지털 가입자 증가가 예상되는 등 정통부의 디지털 방송 활성화에 따라 가장 높은 주목을 받는 디지털방송솔루션 전문업체이다.

지방 단일 SO의 경우 타 매체 및 방송사업자들과 경쟁을 위한 디지털 전환을 인식하고는 있지만 디지털 전환 일정 및 수익성을 이유로 투자를 미루고 있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이번 정통부 발표에 따라 디지털로의 전환은 필수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만큼 디지털 전환 구축 수요는 증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 근거를 명시하는 점도 지방 단일 SO의 디지털 전환 구축비용 등의 문제점 해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방송을 위한 아날로그 전송망의 디지털망 교체 등도 단행 될 예정이라 컴텍코리아는 디지털방송 활성화 추진 대책에 많은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컴텍코리아가 현재 진행중인 CMB DMC 구축 프로젝트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 I- TV(Interactive TV)가 가능한 만큼 양방향 DTV보급에 따라 DTV 전용 고화질 방송 콘텐츠, 양방향 데이터 통신 사업분야도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관희 프로덕션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진행중인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전송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배급 사업은 디지털 시대의 핵심인 콘텐츠 분야의 수요가 늘어남과 동시에 디지털로의 전송 배급 수요도 늘어날 것이며 프로그램 유료 시청제 서비스(PPV), 오디오 포탈(채널 연동형) 등의 부가서비스와 주문형비디오(VOD)등의 디지털 유료 서비스도 매출이 증가 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DP(방송채널사용사업자)등록을 통한 방송서비스 사업과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공급도 디지털 전환과 맞물려 늘어날 가입자에 대한 부가서비스 강화라는 필수 명제와 맞물려 수익 증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 VOD 단점을 해결하는 PUSH VOD(스카이스트림네트웍스사) 등의 개선된 부가서비스 요소들도 정통부의 디지털 방송 활성화에 따라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

또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필수요소인 셋톱박스의 POD(Point of Deployment) 및 케이블카드는 가입자 증가에 따라 매출증대가 지속적으로 예상되며 케이블카드 등과 더불어 핵심 방송 소프트웨어인 수신제한시스템(CAS)의 로열티 매출 증가도 예상하고 있다.

이번 정보통신부의 발표는 기존 다소 부진했던 디지털 방송 활성화 대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관계부처, 방송사, 제조사, 시민단체 등의 고위인사가 참여하는 “디지털방송산업 활성화 위원회” 및 관련 특별법 제정 추진 등 정부차원의 의지가 반영된 발표라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디지털 전환정책 추진이 산업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컴텍코리아 등 관련 업계에서는 기대하고 있다.

컴텍코리아는 디지털 방송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이미 2002년 업계최초로 코스닥 상장한 유망 기업이다. 노학영 대표이사는 “우리는 이미 디지털 방송분야에 진출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센터(DMC) 구축, 위성 멀티미디어방송(DMB) 압축다중화 시스템, 한국위성 방송(Sky Life) 프로젝트 등 디지털 방송 분야의 굵직한 프로젝트를 수행해 왔다. 정통부의 디지털 활성화 추진 정책에 당사의 비즈니스는 더욱더 박차를 가할 것이며 단순한 디지털 전환에 국한 하지 않는 그에 걸 맞는 부가서비스 창출(드라마, 음악, 게임 등)과 방송통신융합인 디지털 컨버전스 사업(IPTV, BcN, Wibro 등)도 이미 준비하고 있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