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Menu
디지털 방송시장 발전, 부가서비스가 해답이다.
‘Television has a real problem. They have no page two. 텔레비전은 한 가지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바로 두 번째 페이지가 없다는 것이다.’ 미국의 칼럼리스트 Art Buchwald가 TV와 관련하여 한 말이다.
이처럼 TV는 ‘바보 상자’라 불리면서 비활동적이고 상상력을 저해하는 여가 도구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바보상자의 시대는 이제 그 끝이 보인다. 시청자들은 더 이상 소파에 늘어져서 TV만 응시하고 있기엔 TV안에 너무나도 다양한 부가서비스들이 펼쳐질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 7월, 수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미디어 관련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로써 지상파 방송들과 신문사 및 대기업 사이에 있던 장벽은 낮아지고, 방송을 통한 시장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신규 방송사 설립에 따른 방송 설비 및 관련 인프라 투자 증가 등으로 인한 방송시장 확대를 예고하고 있다.
이렇듯 IPTV의 본격 서비스 시행, 미디어법 국회 통과 등과 같은 방송시장의 구조적 변화는 구 미디어와 신규 미디어 사이의 경쟁을 본격화 시키고 있으며,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통신, 방송 환경의 바람을 타고 다양한 서비스 형태로 생성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은 방송시장 변화에 있어서 사업자, 시청자뿐만 아니라 당사와 같은 서비스 제공 기업에까지 방송시장 저변 확대에 따른 기회를 창출하고 있어, 부가서비스의 시장성은 확대되고 있다.
첫째, 디지털 케이블 방송사업자가 새롭게 제공하고 있는 Web-TV가 있다. Web-TV는 PC를 통해 방송을 수신하고 이를 TV와 연결해 보는 것을 말한다. 케이블 TV나 IPTV를 수신하려면 셋톱박스가 필요한데 Web-TV에서는 셋톱박스의 역할을 PC가 대신하게 된다. 인터넷이 매우 발달한 우리나라의 경우 각 가정마다 PC가 대부분 보급되어 있고, 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들은 셋톱박스 대신 PC를 통해 시청자들이 방송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수천억 원에 달하는 셋톱박스 투자비를 아낄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시장의 성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TV개념을 뛰어넘어 PC라는 매체를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 및 부가서비스에 대한 신규미디어 접촉의 기회가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하며, 인터넷을 통한 대규모 Live, VOD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둘째, IPTV의 부가 서비스 중 하나인 CUG(Closed Users Group: 폐쇄형 이용자 그룹) 서비스가 있다. 이는 특정 조직내의 가입자끼리 통신 및 방송 서비스가 가능토록 하는 서비스로 기업의 사내방송, 군부대, 병원, 학교, 증권사, 관공서, 학원 등에서 마치 그룹 자체의 방송국을 운영하는 것처럼 방송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동시에 많은 인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고, 저렴한 구축 비용으로 전용 통신망을 개설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IPTV의 콘텐츠 확보, 이용자 확대, 인프라 보급에 자동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IPTV서비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장으로 급부상 하고 있다.
이렇듯, 서두에서 인용한 Art Buchwald의 ‘텔레비전은 두 번째 페이지가 없다는 것이다.’라는 말은 변화무쌍하게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통신, 방송 시대에서는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 듯 하다. 디지털 방송은 TV가 더 이상 바보상자가 아님을 증명하듯 다양한 장비, 콘텐츠, 부가서비스 등을 쏟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디어법 통과와 방송 기술의 발전은 방송사업자, 시청자 및 당사와 같은 디지털 통신, 방송 솔루션 제공업체에게 방송 환경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다가왔음에 틀림없다.
1) 방송사업자는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을 통해 수익 모델 창출이 가능하다.
2) 시청자들은 수동적 TV 시청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 활용을 통해 참여형 시청자로
거듭나게 된다.
3) 리노스와 같은 디지털 통신, 방송 솔루션 제공 사업자는 앞서가는 기술 개발 및 제공을 통해 시장저
변 확대에 따른 매출 증대가 기대된다.
큰 변화의 바람을 맞고 있는 방송 시장에서 방송사업자, 시청자, 솔루션 제공 사업자 모두가 거친 파도를 헤치고 성공적인 항해를 마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이처럼 TV는 ‘바보 상자’라 불리면서 비활동적이고 상상력을 저해하는 여가 도구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바보상자의 시대는 이제 그 끝이 보인다. 시청자들은 더 이상 소파에 늘어져서 TV만 응시하고 있기엔 TV안에 너무나도 다양한 부가서비스들이 펼쳐질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 7월, 수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미디어 관련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로써 지상파 방송들과 신문사 및 대기업 사이에 있던 장벽은 낮아지고, 방송을 통한 시장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신규 방송사 설립에 따른 방송 설비 및 관련 인프라 투자 증가 등으로 인한 방송시장 확대를 예고하고 있다.
이렇듯 IPTV의 본격 서비스 시행, 미디어법 국회 통과 등과 같은 방송시장의 구조적 변화는 구 미디어와 신규 미디어 사이의 경쟁을 본격화 시키고 있으며, 이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통신, 방송 환경의 바람을 타고 다양한 서비스 형태로 생성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은 방송시장 변화에 있어서 사업자, 시청자뿐만 아니라 당사와 같은 서비스 제공 기업에까지 방송시장 저변 확대에 따른 기회를 창출하고 있어, 부가서비스의 시장성은 확대되고 있다.
첫째, 디지털 케이블 방송사업자가 새롭게 제공하고 있는 Web-TV가 있다. Web-TV는 PC를 통해 방송을 수신하고 이를 TV와 연결해 보는 것을 말한다. 케이블 TV나 IPTV를 수신하려면 셋톱박스가 필요한데 Web-TV에서는 셋톱박스의 역할을 PC가 대신하게 된다. 인터넷이 매우 발달한 우리나라의 경우 각 가정마다 PC가 대부분 보급되어 있고, 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들은 셋톱박스 대신 PC를 통해 시청자들이 방송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수천억 원에 달하는 셋톱박스 투자비를 아낄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시장의 성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TV개념을 뛰어넘어 PC라는 매체를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 및 부가서비스에 대한 신규미디어 접촉의 기회가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하며, 인터넷을 통한 대규모 Live, VOD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둘째, IPTV의 부가 서비스 중 하나인 CUG(Closed Users Group: 폐쇄형 이용자 그룹) 서비스가 있다. 이는 특정 조직내의 가입자끼리 통신 및 방송 서비스가 가능토록 하는 서비스로 기업의 사내방송, 군부대, 병원, 학교, 증권사, 관공서, 학원 등에서 마치 그룹 자체의 방송국을 운영하는 것처럼 방송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동시에 많은 인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고, 저렴한 구축 비용으로 전용 통신망을 개설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IPTV의 콘텐츠 확보, 이용자 확대, 인프라 보급에 자동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IPTV서비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장으로 급부상 하고 있다.
이렇듯, 서두에서 인용한 Art Buchwald의 ‘텔레비전은 두 번째 페이지가 없다는 것이다.’라는 말은 변화무쌍하게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통신, 방송 시대에서는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 듯 하다. 디지털 방송은 TV가 더 이상 바보상자가 아님을 증명하듯 다양한 장비, 콘텐츠, 부가서비스 등을 쏟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디어법 통과와 방송 기술의 발전은 방송사업자, 시청자 및 당사와 같은 디지털 통신, 방송 솔루션 제공업체에게 방송 환경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다가왔음에 틀림없다.
1) 방송사업자는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을 통해 수익 모델 창출이 가능하다.
2) 시청자들은 수동적 TV 시청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 활용을 통해 참여형 시청자로
거듭나게 된다.
3) 리노스와 같은 디지털 통신, 방송 솔루션 제공 사업자는 앞서가는 기술 개발 및 제공을 통해 시장저
변 확대에 따른 매출 증대가 기대된다.
큰 변화의 바람을 맞고 있는 방송 시장에서 방송사업자, 시청자, 솔루션 제공 사업자 모두가 거친 파도를 헤치고 성공적인 항해를 마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